만 나이 가이드
만 나이는 출생일을 기준으로 실제 살아온 햇수에 따라 계산하는 국제적 표준 나이입니다. 2023년 6월 28일부터 대한민국은 법적·행정적으로 만 나이만 사용하도록 통일했습니다.
📌 만 나이 정의
만 나이는 출생일로부터 경과한 햇수를 기준으로 합니다. 생일이 지나면 1살이 증가하며, 생일 전까지는 이전 나이가 유지됩니다.
🔄 한국식 나이와의 차이
- 한국식 나이(세는 나이) — 태어날 때 1살로 시작, 해가 바뀌면 무조건 1살 증가
- 만 나이 — 태어난 날 0살, 생일이 지나야 1살 증가
예) 2000년 7월 1일생, 2025년 9월 기준 → 만 25세 (생일 지남)
한국식 나이로는 26세가 될 수 있음
한국식 나이로는 26세가 될 수 있음
🧮 계산 방법
- 현재 연도에서 출생 연도를 뺍니다.
- 아직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1을 더 뺍니다.
공식: 만 나이 = (현재 연도 - 출생 연도) - (생일이 지났는지 여부)
⚖️ 법적 규정
2023년 「민법」과 「행정기본법」 개정으로 대한민국은 모든 법률·행정 분야에서 만 나이만 사용합니다. 계약, 투표권, 청소년보호법 등 모든 제도는 만 나이를 기준으로 합니다.
💡 활용 예시
- 학교 입학·졸업 시기 확인
- 성년 여부 판단 (만 19세)
- 군 복무·청소년 관람가 영화 판별
- 보험 가입·대출 등 금융 서비스 조건